CBM이란 Cubic Meter의 약자로 화물의 용적(부피)을 표시하는 단위입니다.
가로 1m, 세로 1m, 높이 1m인 화물의 CBM은 1×1×1=1CBM이 됩니다.
즉, 화물의 가로, 세로, 높이를 meter로 환산하여 곱한 값이 CBM입니다.
예) 가로 80cm, 세로 120cm, 높이 50cm 인 화물의 CBM은?
⇒ 0.8×1.2×0.5=0.48CBM
M/T란 Metric ton의 약자로 kilo ton이라고도 부르며 화물의 중량(무게)을
표시하는 단위입니다. 즉 1 M/T=1,000kg을 의미합니다.
한편, 해상운임, 창고료 등 물류관련 각종 요금 청구시 사용되는 단위는 R/T
(Revenue Tonnage)로써 용적과 중량 가운데 비용이 많은 쪽을 적용한다는 의미
입니다. 물류관련 요금은 부피 및 중량에 따른 요금이 정해져 있는데, 어떤
화물의 부피와 중량에 따른 요금이 상이할 경우 비싼쪽을 적용한다는 의미입니다.
가로 1m, 세로 1m, 높이 1m인 화물의 CBM은 1×1×1=1CBM이 됩니다.
즉, 화물의 가로, 세로, 높이를 meter로 환산하여 곱한 값이 CBM입니다.
예) 가로 80cm, 세로 120cm, 높이 50cm 인 화물의 CBM은?
⇒ 0.8×1.2×0.5=0.48CBM
M/T란 Metric ton의 약자로 kilo ton이라고도 부르며 화물의 중량(무게)을
표시하는 단위입니다. 즉 1 M/T=1,000kg을 의미합니다.
한편, 해상운임, 창고료 등 물류관련 각종 요금 청구시 사용되는 단위는 R/T
(Revenue Tonnage)로써 용적과 중량 가운데 비용이 많은 쪽을 적용한다는 의미
입니다. 물류관련 요금은 부피 및 중량에 따른 요금이 정해져 있는데, 어떤
화물의 부피와 중량에 따른 요금이 상이할 경우 비싼쪽을 적용한다는 의미입니다.